위클리 페이퍼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코드잇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무결성이 무엇인지 설명해 주세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마이그레이션이란 무엇인지 설명해 주세요.데이터베이스 무결성은 데이터의 정확성, 일관성,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한 규칙과 제약 조건의 집합이다.데이터베이스에 잘못된 데이터나 모순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을 방지하는 개념이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무결성은 크게 개체 무결성, 참조 무결성, 도메인 무결성이 있다. 먼저 개체 무결성(Entity Integrity)는 테이블의 기본 키에 대한 무결성 조건이다.기본 키는 null값을 가질 수 없으며 항상 고유한 값을 가져야 한다는 내용이다. 참조 무결성(Referential Integrity)는 테이블의 외래 키에 대한 무결성 조건이다.외래 키의 값은 참조하는 테이블의 기본 키 값이거나..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한 여러가지 이미지 업로드 방식
·
웹 개발/JavaScript
백엔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이미지 파일처리에 관한 부분을 구현하게 되었다. 먼저 기본적인 개념으로 이미지는 request body 부분에 multipart/form-data 라는 형식으로 전송된다. 그러면 백엔드에서 일반적으로 multer라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해 이미지를 처리한다. multer는 body의 multipart/form-data형식의 데이터를 파싱해서 지정된 경로(dest 혹은 storage)에 파일을 업로드하고 해당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req.file 이라는 필드에 저장해서 사용자가 처리할 수 있게 해준다. 처음 이 기능을 우선 구현해야겠다 생각하고 구현 방식을 찾아보았다.node 환경에서 multer는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어렵지 않게 구현 방법을 알 수 있었다. 현재 프로젝트의 스태틱..
[React] 리액트 훅에 대한 이해 - useState 활용해보기
·
웹 개발/React
이번에 진행한 토이프로젝트 내용을 좀 더 자세히 정리하려고 한다. 자바스크립트도 모르는 입장에서 바라본 리액트 훅은 정말 충격적인 기능이었다. 웹 개발에서 이렇게 함수형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줄 몰랐다. 근데 원래 자바스크립트가 웹에서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지원해주는 언어인걸로 알고있어서 내가 자바스크립트의 활용도에 놀란건지 정말 리액트 훅의 차별성을 이해하고 놀란건지는 모르겠다. 그동안은 웹 개발이라고 해 본 것이 너무 디테일하고 정적이라 재미가 없었는데, 리액트를 접하고나서 많은 재미를 느꼇다. 먼저 리액트가 왜 좋은가 왜 다들 사용하는 지 책을 공부해서 이해한 내용을 정리하자면 기존 리액트 버전 16.8 이전에는 사용자 컴포넌트는 클래스 기반의 컴포넌트였다. 잘 모르겠지만 클래스 기반의 컴포넌트는 재사..
[React] 토이 프로젝트 - 사용자 맞춤 음주 솔루션 제공 웹서비스
·
웹 개발/React
23.02.06 ~ 23.02.20 동안 진행한 리액트 토이 프로젝트에 대해 정리하려고 한다. 주제는 자유 주제였는데, 짧은 기간동안 구현할 수 있으면서 참신한 아이디어가 뭐가 있을까 생각을 하다가 갑자기 술과 관련한 아이디어가 떠올라서 관련한 주제를 잡게되었다. 사실 주제보다는 공부했던 React에 대해 더 집중을 하려고 한다. 광고는 아니고, 리액트에 대한 내용은 이 책으로 공부를 했다. 책이 약 한달전에 나온 책이라 최신 업데이트된 내용을 토대로 배워 볼 수 있어서 매우 좋은 것 같다. 특히나 리액트는 업데이트가 굉장히 빠르고, 버전별로 문법차이도 심한것으로 알고 있기 때문에 출시된 지 오래된 책으로 공부를 하면, 현재 버전의 리액트와 호환되지않을 수도 있다. 여기서는 간단하게 구현한 결과물을 정리..